문서의 이전 판입니다!
한글 (Hangul)
⟨한글⟩은 한국어 표기를 위하여, 1443년에 조선 제4대 왕인 세종이 창제한 표음문자이다. 현대 한국어는 ⟨한글⟩을 사용하여 글을 적는다.
- 한글의 역사
- 1443년 조선시대 제4대 왕인 세종에 의해 '훈민정음'으로 창제되어, 1446년에 반포되었다.
- 타 문자시스템에 비해 인류사에 비교적 최근 발명된 문자이다.
- 한글의 자모
- 현재 한글은 기본 자모로 자음 14개와 모음 10개의 24개로 구성되며, 겹자모를 포함하면 총 51개가 된다.
- 한글의 자모로 총 11,172개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으나, 보통 2,350개의 문자로 실사용의 대부분을 표현할 수 있다.
- 창제시 옛한글의 자모 4개는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다.
- 한글의 특징
- 소리를 적는 표음문자
- 모아쓰기, 띄어쓰기
한글의 역사
| 시기 | 내용 | |
|---|---|---|
| 1443 | 한글 창제 | 세종 |
| 1446 | ⟨훈민정음 (해례본)⟩ 반포 | |
| 1700년대 | 한글 소설, 편지 유행 | |
| 1907 | ⟨국문연구소⟩ 설치 | 대한제국 |
| 1945 | ⟨한글날⟩을 양력 10월 9일로 확정 | |
| 2012 | 한글날 공휴일 지정 | |
한글의 창제
한글의 명칭 (언문 ~ 조선글, 한글)
한글의 구성
| 김치 /kim-chi/ | |||
|---|---|---|---|
| 글자 | 초성 | 중성 | 종성 |
| 김 | ㄱ /k/ | ㅣ /i/ | ㅁ /m/ |
| 치 | ㅊ /ch/ | ㅣ /i/ | x |
| - | 자음 | 모음 | 자음 |
한글의 자모
기본 자모 (24)
| 기본 자음 (14) | ㄱ · ㄴ · ㄷ · ㄹ · ㅁ · ㅂ · ㅅ | |
|---|---|---|
| ㅇ · ㅈ · ㅊ · ㅋ · ㅌ · ㅍ · ㅎ | ||
| 기본 모음 (10) | ㅏ · ㅑ · ㅓ · ㅕ | ㅡ · ㅣ |
| ㅗ · ㅛ · ㅜ · ㅠ | ||
겹자모 (27)
| 쌍자음 (5) | ㄲ · ㄸ · ㅃ · ㅆ · ㅉ | ||
|---|---|---|---|
| 쌍받침 (11) | ㄳ · ㄵ · ㄶ | ㅄ | |
| ㄺ · ㄻ · ㄼ · ㄽ · ㄾ · ㄿ · ㅀ | |||
| 겹모음 (11) | ㅐ · ㅒ · ㅔ · ㅖ | ㅢ | |
| ㅘ · ㅙ · ㅚ | ㅝ · ㅞ · ㅟ | ||
한글 자모의 쓰기
| 초성 (19) | 기본 자음 + 쌍자음 |
|---|---|
| 중성 (21) | 기본 모음 + 겹모음 = 모든 모음 |
| 종성 (27) | 'ㄸ · ㅃ · ㅉ'을 제외한 모든 자음 |
- 현대 한글은 총 11,1721)개 문자로 표현될 수 있다.
- 쌍받침은 종성으로만 사용된다.
- 쌍자음의 'ㄸ · ㅃ · ㅉ'을 종성으로 사용하지 않는다.
한글 탐방/관광
1)
19 * 21 * (27 + 1) = 11,172